그가 곧 나일 수 있음을



우연(偶然)이란 단어를 두고 국어사전은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이 뜻하지 아니하게 일어난 일'이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영어사전에는 chance, accident, fortunity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같은 의미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우연을 두고 '기회'혹은 '위기' 그리고 '중립'이라는 세 가지 의미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우연히 로또에 당첨되었다면 chance로, 길에서 교통사고를 당했다면 accident로, 길을 지나가다 무심코 다른 사람의 특별한 행운이나 불운을 목격하였다면 fortunity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을 보면 서양 사람들은 꽤 실용적이고 한국(동양)사람들은 명확하지 못한 느낌이지만 사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동양에서는 우연이라는 것에 대해 그리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고, 우연과 필연을 묶어 '인연(因緣)'이라는 말로 뭉뚱그려서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오늘 내가 이 자리에서 서 있는 사실 그 자체를 인연이라고 믿는다. 그 점에서는 필자가 이 글을 쓰는 것도 독자가 이글을 읽는 것도 인연을 맺는 것이다. 하지만 서양인의 관점에서는 fortunity일 것이고, 혹시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chance로, 그 반대였다면 accident로 표현 할 수도 있다.


이런 관념의 차이는 그것의 결과로 불리는 필연에 대한 생각의 차이로 이어지기도 한다.


동양의 전통적 사고로는 어떤 사람이 불행한 일을 당하거나, 누군가가 나와 다른 어떤 문제가 생기면 그것에 대해 인연, 즉 업(嶪)이라 불리는 과거의 혹은 전생의 행적에 대한 결과물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불구가 되거나 혹은 반대로 입신양명을 하게 되면 그 사람의 불운이나, 노력보다는 조상의 공덕이나 잘못으로 돌리곤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과거의 봉건사회에서는 분수에 맞게 살면서 충실하면 나중에는 좋은 세상을 맞을 것이라는 희망을 안을 수 있도록 했지만, 한편으로는 가난한 백성들을 지배하는 논리로 이용되기도 했다. 인도 사람들이 카스트라는 계급에 묶여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서양 사람들은 본인이 의도하지 않는 우연의 결과는 그야말로 행운이거나, 사고 일 뿐 그것은 자신의 책임과는 무관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다른 사람에 비해 불행한 일을 당한 사람에 대해 비교적 관대했다. 때문에 태어날 때부터 장애를 가진 불행이나, 우연히 닥친 재앙에 대해 따뜻한 시선을 주는 경우가 많고, 특히 지금 나와 다른 사람을 보면서 그 사람을 특별하게 여기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감싸려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그 사람의 복으로, 인연으로, 업으로 여겼던 문화적 배경 탓인지,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해 그리 관대하지가 않다.


필자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따뜻한 전통과 문화를 가진 우리민족이 유독 장애나 결핍에 대해서만 가슴을 크게 열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그것만은 우리의 잘못이다.


지금 내가 바라보는 '나와 다름'은 내게는 다행스럽게 주어진 행운에 불과하고, 그에게는 운 나쁘게 닥친 불행일 뿐이다. 내가 그의 불행을 바라볼 때, 그가 곧 '나'일수 있음을 생각하고, '그'를 위해 따뜻한 시선을 한결같이 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쉽게 말하는 '인연'이 '업'이 아니라, '그'와 '나'사이에 맺어가는 아름다운 사랑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박경철_(http://blog.naver.com/donodonsu.do) 경북 안동에서 신세계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현직 의사인 동시에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유명한 경제전문가이기도 하다. 환자를 돌보며 겪은 이야기를 묶은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2003,위즈덤하우스)은 수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기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