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와 함께 일하는 것에 큰 만족
푸르메소셜팜&무이숲 사회 성과 측정 연구 중간평가 1편
푸르메소셜팜과 무이숲 전경
푸르메재단은 발달장애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2022년 9월, 경기도 여주에 푸르메소셜팜을 건립했습니다. 국내 첫 발달장애인 스마트팜으로 2020년 10월 착공하면서 16명의 발달장애 청년을 채용했고, 현재는 총 55명이 정직원으로 근무합니다.
푸르메소셜팜의 초기 목표는 발달장애 청년 60명을 채용하고, 그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에서 오랫동안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간 장애 직원들의 인터뷰를 통해 ‘일하는 것이 행복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실제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지난해 초 한양대 임팩트리서치랩과 함께 사회적 성과 측정에 나섰습니다. 결과에서 부족한 점이 있다면 이를 잘 보완해 농장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조사 기간은 2023년부터 총 3년. 최종 결과는 2025년에 나오지만, 임팩트리서치랩은 이달, 지난 1년간의 조사를 통한 중간평가를 우선 공개했습니다. 푸르메소셜팜 건립을 담당했던 푸르메재단 임직원과 현 푸르메소셜팜·무이숲의 장애·비장애 임직원, 장애직원 보호자와 근로지원인, 그리고 건립을 도운 기업 및 개인 기부자 등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결과입니다. 크게 3가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첫 번째는 장애인 직원들의 변화와 장애인 일자리로서 푸르메소셜팜의 의미, 두 번째는 장애인 직원들의 근무 경험, 세 번째는 기부자 만족도입니다. 각각의 결과를 총 3편에 걸쳐 연재합니다.
장애직원들의 업무 만족도는?
푸르메소셜팜은 장애직원에게 긍정적인 사회 경험을 제공하는 ‘장애직원 중심의 작은 사회’로 나타났습니다. 동료와 일상을 공유하고, 비장애 직원과 근로지원인이 함께 일하며 관계를 확장하고 사회생활을 배우는 일터입니다. 일과 후 진행되는 여러 프로그램은 동료 간의 친밀도를 높였고 커뮤니티 형성에 영향을 줬습니다.
푸르메소셜팜 교육 프로그램
개인별 변화도 눈에 띄었습니다. 비장애 직원과 보호자들은 장애 직원들이 업무를 통해 소근육 발달과 체력 향상 등 신체기능이 향상되고, 대인관계, 경제관념, 사회성 등이 향상됐다고 답했습니다. 장애직원들 스스로는 자립성이 높아지고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된 것을 큰 변화로 꼽았습니다. 동료와 함께 일하는 것에 큰 만족감을 드러냈고, 일을 하는 것에 뿌듯하고 행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변화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농장의 특성상 업무를 오랜 시간 반복해서 할 수 있었던 것, 근로지원인들이 장애 특성에 맞춰 애정을 가지고 헌신적으로 업무를 지원한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직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도 자립 의지를 높이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긍정적인 평가가 대부분인 농장과 달리 베이커리카페 무이숲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다수의 고객을 상대해야 하는 카페는 장애 직원의 업무에 한계가 있어 직원 스스로 부족함이나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고객이 몰릴 때는 음료 제조 업무를 전부 소화하기 힘들다는 문제도 있지요. 일부 직원은 계산과 서비스 업무에서 어려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관리자들이 고민하는 부분 역시 이 지점입니다. 카페에서 장애 직원의 역할과 직무를 어디까지로 정해야 할까 하는 것이죠. 반면 베이커리부의 경우는 농장과 유사하게 긍정적 평가가 많았습니다. 동료들끼리 일할 수 있는 정해진 공간에, 반복적인 업무가 많고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직무여서 장애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푸르메소셜팜은 장애인 일자리로 적합할까?
위 결과만 보더라도 푸르메소셜팜은 발달장애인 일자리로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직원이 함께 어울려 일하는 환경은 장애 직원들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생활을 경험하는 데 좋은 영향을 주고 있었고요. 업무 외적 성장과 자립성 향상을 위해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직원들의 사회성 발달에 큰 역할을 하면서 보호자들에게 더 큰 호응을 얻고 있었습니다.
푸르메소셜팜과 무이숲 장애직원들의 업무 모습
다만 몇몇 풀어야 할 숙제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애인을 직원으로 고용한 이상 복지적 역할을 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각자의 장애 특성이나 성향에 맞는 적절한 직무 배치와 관리 방법의 기준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도 아직은 물음표입니다. 감가상각비 증가로 적자 운영이 지속되는 상황입니다. 장애직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하여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를 주고 있으나, 그만큼 생산성을 내지 못하는 직원도 당연히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근속연수나 업무능력에 따라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것은 푸르메소셜팜의 목적에 반하는 일이지요. 추후 정책 변화로 현재 업무의 큰 부분을 책임지고 있는 근로지원인의 수가 감소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장애 직원들의 노후 문제가 언급됐습니다. 푸르메재단이 가장 고민하는 과제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20~30대 직원이 대다수이지만, 노화가 빠른 장애인의 특성상 향후 10년 후부터는 은퇴 시기가 도래합니다. 그때에도 여전히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이들의 노후를 책임질 방법을 찾는 것이 푸르메소셜팜의 가장 큰 숙제입니다.
(2편에 계속)
Q. 당신(장애직원)에게 푸르메소셜팜·무이숲은 어떤 의미인가요?
‘감사한 일’
'뿌듯한 일’
‘재미있는 일’
‘삶의 활력소’
‘내가 사랑하는 곳’
‘마음이 좋아지는 곳’
‘열심히 일해서 돈을 벌 수 있는 곳이라 좋다’
‘농장에서 햇빛을 보고 토마토를 키우면서 건강해졌다’
*조사= 임팩트리서치랩
*정리= 지화정 과장 (마케팅팀)
*사진= 푸르메재단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