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 한의사에 대한 보은

[허영진 / 푸르메재단 한방어린이재활센터 원장]




어렸을 적, 내 별명은 '문어'였다. 생후 9개월, 나는 경기 후유증으로 연체동물처럼 목도 가누지 못했다. 뇌성마비 증상까지 나타나자 어머니는 나를 데리고 유명하다는 한의원을 찾아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셨다. 자식에 대한 지국 정성이 하늘을 감동시킨 것일까. 연세 지긋하신 어느 한의사 손에서 나는 증세가 호전돼 점차 목을 가누고 혼자 앉고 서며, 말문을 트기 시작했다.나는 한의사니까 약과 침술로 장애어린이를 치료하는 것이 내 직업이다. 수많은 직업 중 한의사를 택한 것은 아주 단순하고 명확한 동기 때문이었다. 


부모님은 내가 언제쯤이면 사람 구실을 할까 애를 태우셨다고 한다. 그러던 내가 어느덧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한의사가 되었다. 그것도 남들이 힘들어하는 장애어린이를 치료하는 한의사 말이다. 어찌보면 당연한 귀결인지 모른다.


그런데 몸이 불편한 어린이를 치료하면 안타까운 마음이 생긴다. 그것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그 때마다 나를 안고 눈물 흘리며 이곳저곳을 헤매시던 어머니가 생각난다. 이것이 내가 푸르메재단에서 일하게 된 동기며, 어머니에 대한 최소한의 보은이라고 생각했다.


난해 9월 전화 한통을 받았다. 민이 엄마였다. 푸르메재단의 한방치료를 통해 만나게 된 민이는 청각장애를 동반한 뇌병변을 앓고 있다. 민이의 쌍둥이 누나 또한 청각장애를 앓고 있었기에 꼭 고쳐주고 싶은 아이였다.


'원장님! 민이가 걸어요! 지금 학교 운동장에서 저와 함께 걷고 있어요. 흐~으윽.'

평소 무덤덤해 보이던 민이 엄마가 아이의 걷는 모습에 감격해 눈물 흘리며 내게 전화를 한 것이었다.


가뭄 끝에 단비 같았다. 그간의 시름이 한순간 날아가는 듯 했다. 동시에 우리 어머니 얼굴이 스쳐 지나갔다. '내가 한의사가 된 그날 어머니 마음이 그러하셨겠지.' 내원 초기 두 돌이 되었음에도 목 가누기도 불안정하고 앉혀 놓으면 쓰러지곤 하던 아이를 날마다 앉히고 잡아주고 기어다니게 하고 서기를 반복하며 한약을 먹이고 침을 놓곤 했더니 마침내 혼자 서고 한 발 한 발 내딛기를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아픈 어린이를 치료하다가 포기하고 떠나간 많은 엄마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럴수록 나는 아이들 치료에 더욱 더 전념하자고 다짐한다.

재활센터에서 진료하면서 장애 어린이가 왜 태어날까 고민했다. 세상에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장애어린이가 있다. 그들을 외면할 수는 없다. 서둘러 치료해서 고통을 덜어 주어야 한다.두 달 전에는 또 다른 기적을 경험했다. 다운증후군을 가진 수민이 엄마가 치료실에 들어서며 소리를 질렀다. 수민이가 2년 만에 장애등급을 심사 받기 위해 병원을 찾았는데 장애가 아니라는 판정을 받았다는 것이다. 수민이 엄마는 1년 6개월 만에 우리가 기적을 일궈냈다며 눈물을 펑펑 흘렸다.


한데 어쩔 수 없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를 포기하는 어머니를 볼 때마다 정말 가슴이 아프다. 장애의 특성이 그러하듯 치료는 1년 이상 장기가 될 수밖에 없는데 한 푼 두 푼도 아니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부모들에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치료를 해서 온전한 몸을 만들어야 하는 일이 나의 임무라는 책임감으로 정성을 다하고 있다.


의학의 세계에는 바로 진리와 같은 '유전치료(有錢治僚) 무전불치(無錢不治)'라는 말이 있다. 의료에도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 불문율을 깨기 위해 나는 개인 봉사 활동을 할 때는 이런저런 많은 궁리를 했었다. 진료비 절반을 받기도 하고 무료 진료 등등. 그러나 이 방법으론 오래지 않아 서로에게 또 다른 상처 만을 남길 뿐 궁극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깨닫던 차에 푸르메재단을 알게 되면서 오랫동안의 고민이 해소됐다.


2007년 8월 푸르메재단의 '한방어린이재활센터'가 개원되면서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가난하더라도 비용을 걱정하지 않고 현재까지 80여 명의 뇌병변장애, 지적장애, 다운증후군, 발달장애 어린이들이 치료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푸르메재단의 취지를 믿고 지원하는 수많은 후원자들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내 아이가 평생 장애로 살아갈 것이라고 생각하다가 이제는 보통 아이들처럼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얻었다면 여러분은 과연 어떻게 하겠는가? 무릎을 꿇고 하나님께 감사할 것이다. 바로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하지만 인생에 있어서 늘 기적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진료실은 3평짜리 방 하나, 너무 좁아 치료 의료기 하나 들여 놓을 자리가 없고 최신 시설은 생각도 못한다. 게다가 보조 간호사를 쓰지 못하고 있어 아이들을 옆에서 돌봐줄 수가 없어 그런 점이 힘들다. 그래도 중단하지않고 이어나가는 이유는 '어린이재활병원건립' 계획이 있어서다.


어느 날 갑자기 건강했던 당신이, 그리고 당신이 가장 사랑하는 아이가 장애 판정을 받았다고 상상해 보라. 그 동안의 행복이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나와 내 가족이 건강하다는 것은 얼마나 축복받은 삶인지 모른다. 내가 치료하는 어린이들에게 늘 조기치료와 반족치료를 강조한다. '치료가 교육이고 교육이 치료'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기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