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 호랑이처럼...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정 운 찬

서울대학교 총장


스코필드 할아버지를 만난 것은 1960년 4월, 내 나이 열세 살 때였다. 그로부터 정확히 10년 뒤인 1970년 4월, 그는 세상을 떠났다. 내 나이 스물세 살 때였다. 소년에서 청년으로 성장하는 그 10년 동안 스코필드는 나와 동행했고, 그 시절 나는 삶에서 배워야 할 것의 대부분을 배웠다.


스코필드 Frank William Schofield는 3.1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에 더하여 '제34인'으로 불리는 영국 태생의 캐나다인이다. 1916년 세브란스 의학교수로 처음 이 땅에 발을 디딘 그는 일생 동안 선교와 장학사업을 통해 사랑과 나눔을 설파하고, 우리나라의 독립과 발전에 헌신하였다.


일제 시대에 그는 틈만 나면 카메라를 들고 거리에 나가 일본의 만행을 기록하여 이를 전 세계에 알림으로써 독립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석호필石虎弼'이라는 우리 이름까지 지었던 그의 한국에 대한 애정은 지극했고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한결같았다.

우리의 인연은 내가 경기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시작되었다. 당시 우리 집은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형편이 좋지 않았다. 당연히 학비를 낼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 그런 사정을 알고 있던 같은 반 친구 아버지의 주선으로 나는 스코필드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그는 나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신적 지주로서 나의 가치관 형성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나이로 보면 할아버지였지만 일찍 아버지를 여읜 나에게 그는 친아버지나 다름없었다. 나는 우리 집과 가까운 곳에 있던 그의 숙소를 내 집처럼 드나들면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그는 사슴처럼 선한 얼굴로 나를  "운찬~"하고 부르곤 했는데, 손자 뻘인 나에게 한 번도 존칭을 생략한 적이 없을 정도로 예의와 품격을 갖추었던 분이었다. 외국에 나가면 꼭 엽서나 편지로 내게 안부를 전했을 만큼 자상한 분이었다. 몇달씩 외국에 나갔다 돌아오는 그를 마중하기 위해 공항에 나가는 것이 내겐 큰 기쁨이었다.


특히 내 가슴속에 깊이 뿌리내린 것은 그분의 철학적 신념이었다. 나는 보행이 불편한 스코필드를 부축하여 대학로를 산책할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마다 그는 "약자에게는 비둘기 같은 자애로움으로, 강자에게는 호랑이 같은 엄격함으로" 대할 것을 내게 주문했다. 항상 '정의로운 사람'이 되라고 하면서, 특히 건설적인 비판정신을 기르라고 강조했다. 또 정치와 거리를 두되, 사회가 어려울 때는 몸과 마음을 바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스코필드의 이런 가르침은 훗날 내가 1986년 "체육관 선거를 종식하고 국민들의 손으로 대통령을 뽑자"는 교수 서명운동을 주도하도록한 원동력이 되었고, 아직도 내 신념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그는 가난한 이들에게는 한없이 베풀고 너그러웠지만, 한국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서는 올곧은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부자는 더 큰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더욱 가난해진다. The rich become richer, the poor become poorer'는 사회현상을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용어로 간명화해 우리 사회에 처음 소개한 분도 스코필드이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사회 공동체가 보살펴야 한다고 누누이 강조했고, 그런 이유로 내가 대학을 진할할 때도 경제학을 선택하도록 종용하였다. 나는 그른 통해 사회 속에 몸담은 지식인의 길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익히고 배웠다.


1970년 4월 12일 오후, 스코필드는 지금의 국립의료원 별관 32병동 5호실 병상에서 운명했다. 임종 며칠 전에도 나는 그의 병상을 지켰는데, 말 없이 내 손을 잡아주던 모습이 아직까지 선하다. 그는 끝까지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하고자 했다. 마지막 책 한 권, 구두 한 켤레까지 주위의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고, 재산을 모두 보육원과 YMCA에 헌납하고 떠났다. 그리고 빈 몸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돌이켜보면 백발이 성성한 70대 할아버지와 철없는 열세 살배기 꼬마의 만남이었거늘, 그는 나를 한결같이 성숙한 인격체로 대했다. 그를 만난 것은 내 생의 축복이자 행운이었음이 틀림없다. 인생의 고비마다 나는 스코필드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나를 채찍질한다. 양지바른 서울 동작동 애국지사 묘역에 잠든 할아버지는 오늘도 그 자애로운 미소로 내게 말을 건네시는 듯하다. 더 부지런하게, 더 정직하게, 더 정의롭게 사랑하며 살라고...


<샘터 2006년 1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정운찬_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학회장. 직선제 시행 이후 유일하게 임기를 다 채운 전 서울대 총장입니다. <중앙은행론><예금보험론><화폐와 금융시장><거시경제론>의 저서가 있습니다


 


기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