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아동기부터 노년기까지 발달장애인 보듬는 캐나다
-
아동기부터 노년기까지 발달장애인 보듬는 캐나다
-
[푸르메재단의 같이 살기]
1952년 설립 발달장애인협회 지원으로 떠도는 불편 해소 -
2025-11-18 리치먼드=김지호 푸르메재단 경영기획팀 과장

DDA가 운영하는 ‘드롭인센터’에서 발달장애인들이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푸르메재단 제공
발달장애가 있는 아이가 성장해 어른이 되고 중년과 노년을 지나 세상을 떠난다. 태어나고 자란 익숙한 곳에서 친숙한 사람들의 지원을 받으며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발달장애인은 대부분 평생 여기저기를 떠돈다. 아동기에는 보육과 치료·교육을, 성인기에는 일과 여가를, 노년기에는 존엄한 돌봄을 제공하는 곳들이 섬처럼 흩어져 있는 탓이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리치먼드에는 발달장애인의 생애를 지원하는 기관과 프로그램을 촘촘히 연결해 커다란 우산처럼 발달장애인의 인생을 품는 곳이 있다. 1952년 설립된 ‘발달장애인협회’(Developmental Disabilities Association·DDA)다. 공립학교 입학을 거부당한 발달장애 자녀들의 교육권을 실현하고자 12개 가족의 부모들이 모여 시작한 이 작은 조직은 현재 직원 600여 명이 연간 1800여 명의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지원하는 큰 조직으로 성장했다.
직원들, 산하 기관 순환하며 여러 업무 익혀
DDA의 진가는 협회 산하에 아동발달센터, 드롭인센터(Drop-in center), 직업 준비 기관, 사회적 기업, 그룹홈 등 한 사람의 생애주기에 필요한 거의 모든 지원 기관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 있다. 모든 지원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우산 조직(Umbrella Organization)’ 모델이다.
DDA 안에서 다양한 기관을 오갈 수 있는 것은 장애인 이용자만이 아니다. 직원들도 인사 순환 과정에서 DDA의 유연성을 강화한다. DDA 직원들은 드롭인센터에서 스타웍스로, 스타웍스에서 잡 웨스트로 이동하며 커리어를 이어간다. 이는 직원들로 하여금 기관 간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물고 DDA가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자연스레 DDA의 다양한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도 높아진다.
마크 주버뷜러 DDA 최고경영자(CEO)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전 부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DA는 체계적인 직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CLBC 지원금을 받는 기관의 표준 직원 교육 요건을 따르되, 자체 제작한 학습 콘텐츠와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해 철저한 성과 평가 및 피드백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잡 웨스트는 장애인이 취업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르치는 직업 준비 전문 기관이다. 발달장애인의 취업 과정을 ‘준비 → 매칭 → 현장 적응 → 장기 지원’ 흐름으로 설계해 지원한다. 장애인은 이곳에서 이력서 작성법을 배울 뿐 아니라, 대중교통을 타고 출퇴근하는 훈련을 받으며, 동료와 관계 맺는 기술을 습득한다. 장애인이 취업에 성공하면 직업 코치가 최대 3주간 직장에 동행해 현장 적응을 돕고 고용주와의 갈등을 중재하기도 한다.

발달장애인이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순서와 주의 사항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한 매뉴얼. 푸르메재단 제공
‘사람에 일을 맞추는’ DDA 철학
DDA에서 스타웍스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디앤 지바트 씨는 “지역 내 캔들 회사가 플라스틱 대롱 끝에 짧게 튀어나온 실 다발을 보이지 않게 잘라서 정리하는 작업을 스타웍스에 맡겼을 때 스타웍스의 비장애인 직원들은 어떤 도구를 써야 발달장애인이 안전하고 쉽게 이 일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했다”며 “스타웍스 직원들이 다양한 방법을 시험해본 끝에 손톱깎이를 사용한 작업 매뉴얼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일에 사람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 일을 맞추는’ DDA의 철학이 엿보인다.

캐나다 발달장애인협회(DDA)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스타웍스’에서 일하는 발달장애인. 스타웍스는 발달장애인이 안전하고 쉽게 일할 수 있도록 장애인 맞춤형 작업대를 제작했다. 푸르메재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