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장애인과 숏버스 여행

`나는 숏버스를 타는 사람이야'

 

미국에서 이 말은 장애인이라는 의미다. 숏버스(short bus)는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이용하는 스쿨버스로 1975년 장애인교육법에 의해 탄생했다. 당시 이 법의 제정으로 장애인이 학교 교육을 받게 되었으나 통합교육이 강제되지 않은 탓에 장애 학생들은 비장애 학생들과 분리되어 교육을 받아야 했다.

이들이 타고 다닌 특수학급용 스쿨버스가 바로 숏버스인데, 일반 스쿨버스보다 길이가 짧아 숏버스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저자는 난독증을 이겨내고 브라운 대학을 졸업한 이후 장애 극복의 표본이 되어 활동가로, 강연자로 살아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정상'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에 늘 사로잡힌 채 자아가 분리되어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결국 저자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 그들이 어떻게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됐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그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 장애인들을 모아 중고 숏버스를 타고 여행을 시작한다. 굳이 숏버스를 고른 것은 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숏버스를 타는 데다 자신들이 겪은 기억의 이야기가 모두 숏버스 안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숏버스는 장애인의 상징이며 그들을 하나로 묶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무니는 2003년 5월부터 10월까지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학습장애, 신체장애, 지적장애를 가진 13명의 사람들을 만나고 이 여행기 `숏버스'를 내놓는다.

세상을 향해 소리치는 학습장애 소년 `브렌트'. 무니가 숏버스 여행에서 제일 먼저 만난 사람은 열두 살 소년 브렌트다. 난독증 학습장애라는 딱지를 달고 고통받으며 축구와 페인트볼 게임에서 위안을 얻는다. 무니의 브라운 대학 동창인 켄트는 주의력결핍장애가 있다. 자기 집에 찾아오는 길을 설명할 만한 집중력조차 없지만 대입 시험에서 만점을 받을 만큼 영리하다. 천재와 미치광이 사이를 넘나드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즐기며 살뿐이다. `성 정체성 장애'를 지닌 쿠키는 여자가 되려 한다.

저자는 숏버스 여행을 통해 진정한 자기를 인정하고 더 이상 남들의 기준에 맞춰 살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애초 자신이 다녔던 초등학교 앞에 시위하듯 숏버스를 버리려던 계획도 바꾼다. `숏버스를 타는 사람'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기로 한다.

 

숏버스/조너선 무니 지음/부키 펴냄/400쪽/1만3500원

박지성기자 js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