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스템 완비한 덴마크

'침대에 묶인 노년 없다' 나라가 수발


[노인 요양의 미래를 찾아서] (중) 복지시스템 완비한 덴마크


한겨레  정세라 기자



» 덴마크 코펜하겐 인근 프라이엠(요양시설)에 사는 에를링 크루세(왼쪽)가 지난달 25일 함께 지내는 노인들과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 도우미의 보조를 받으며 점심을 먹고 있다.


시설요양에 방문간호·복지용구 ‘3박자’


 연금 포함 노후보장에 GDP 11% 지출


 누워만있지않게 재활·소풍·파티 다재


 


에를링 크루세(85)는 코펜하겐 인근의 ‘프라이엠’(요양시설)에서 산다. 다리가 불편해 전동 휠체어로 움직여야 하지만, 침대에 가만히 누워 있는 법이 없다. 아침 7시30분이면 깨어나 종일 공원을 산책한다.


 65살에 은퇴한 뒤 67살부터 다달이 8천덴마크크로네(크로네·160만원 상당)의 연금을 받아 지낸다. 시설 주거비와 식비 등으로 6500크로네(140만원)를 내고, 나머지는 용돈으로 쓴다. 7년 전 아내를 잃고는 재가 서비스로 식사만 배달받으며 홀로 살았지만, 3년 전 건강이 악화돼 시설로 들어왔다. 크루세는 “한 주 세 차례 헬스클럽에서 근육 운동도 하고 걷기 훈련을 하면서 상태가 나아졌다”고 말했다.


 덴마크 노인 요양 시스템은 몸이 불편해도 지인 네트워크와 추억이 있는 자기 동네, 자기 집에서 지낼 수 있게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주는 ‘노말리세르’(Nomaliser) 원칙이 중심이다. 또 신체·정신 기능을 되살려 ‘누워 있는 노인’을 없애는 데 온 힘을 기울인다. 65살 이상 노인은 전체 인구 540여만명의 15.6%인 85만여명인데, 자식과 함께 사는 일은 드물다. 18살이 되면 부모한테서 독립하는 풍토이기 때문이다.


 전국 98개 지방자치단체(Kommune)는 무엇보다 방문간호·요양, 복지용구 지급 등 다양한 재가 서비스로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돕는다. 식사 배달만 유료이고, 정부는 재가 서비스 거의 대부분을 조세 재정으로 무료로 제공한다.


 덴마크는 노인 복지에 국내총생산(GDP)의 11%인 연간 1760억크로네(35조2천억원)를 지출한다. 덴마크인들은 세계 최고인 49.1%의 국민부담률(조세 부담+사회보장 기여금)을 감수하는 대신 무료 재가 서비스, 노후 연금만으로 충분한 요양시설 등 최고 수준의 노인 요양 시스템을 누린다.


 요양시설엔 6만~7만명 가량이 입소하는데, 이 가운데 85%가 치매 환자다. 몸만 불편한 노인들은 방문간호가 하루 대여섯 차례를 넘을 만큼 악화돼야 요양시설로 옮긴다. 노인들은 대개 월 7500크로네(150만원)의 연금을 받는데, 시설에 들어가면 6천크로네(120만원) 가량을 낸다. 정부는 용돈으로 쓸 800~900크로네(16만~18만원)가 남지 않으면 돈을 추가 지원하기도 한다.


 요양시설은 침대에 누워 수명을 그저 소진하지 않도록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코펜하겐 인근 프라이엠 ‘홀메고르스프라켄’의 코니 엥엘룬 원장은 “145명의 입소자 가운데 연간 60명이 생을 마칠 만큼 죽음에 가까운 노인들이지만, 낮에 침대에 누워 있는 노인은 거의 없다”며 “한 주에 세 차례씩 파티나 이벤트를 열고 신체와 정신의 재활 훈련으로 삶의 즐거움을 누리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이곳 프라이엠은 1인 1실인데 예전에 쓰던 가구나 물건들을 가져와 자기 집처럼 꾸며놓고 지낼 수 있다. 그래서 145개 방은 침대보부터 양탄자, 커튼, 의자 등이 한 가지도 같은 게 없다. 시설 기준법도 개정돼 한 사람당 방 12㎡, 욕실 6㎡ 이상의 공간을 배정했던 것이 2016년부터는 방 20㎡, 욕실 8㎡ 이상으로 대폭 넓어진다.


 프라이엠에 사는 루트 옌센(88·여)은 “눈이 거의 안 보이지만 쓰던 가구와 물건들을 가져와 익숙한 내 집 그대로인 것처럼 살고 있다”며 “파티나 소풍이 큰 즐거움”이라고 말했다.


 코펜하겐/글·사진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노인 ‘활동’ 돕는 용구들 무료대여


전동휠체어서 글씨 확대기까지


한겨레  정세라 기자


 



» 편지나 책의 글씨를 수십배 확대해 모니터로 보여주는 의료기기(사진)


덴마크 지방자치단체들은 복지용구 대여소를 차려놓고 무료로 수백 가지 복지용구들을 빌려준다. 여기에는 각종 전동 휠체어는 물론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각종 기기들이 있다. 지팡이만 25가지가 마련돼 있을 정도다.


 복지용구는 노인들이 일상 생활 동작들을 스스로 할 수 있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크와 나이프는, 손이 떨리고 팔이 불편한 노인들이 스스로 쓸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나 각도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접시를 닦는 솔은 싱크대에 붙여서 한 손으로 접시를 문지를 수 있게 해 준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노인을 위해 눈금을 음성으로 읽어 주는 저울도 있고, 편지나 책의 글씨를 수십배 확대해 모니터로 보여주는 의료기기(사진)도 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구조가 노인 휠체어 이동 등에 맞지 않으면 문턱을 없애 주는 경사로도 유용하다.


 노인의 식사·목욕 등 일상 생활을 돕는 방문 요양 인력들도 복지용구들을 활용하면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코펜하겐 지자체 소속 복지용구센터의 작업치료사인 아네 도르테 린그렌은 “노인들이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몸이 상당히 불편해도 살던 집에서 큰 불편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복지용구의 힘이 크다”고 말했다.


 정세라 기자


 


기부하기